logo

회원로그인

📡 언론보도
 

[뉴스1] 전북 학력 수준 전반적 '하락'…중위권 학생층 붕괴 '심각'


권혁선 정책자문 "중위권 학생 위한 교육 전략 없고 상위권 성취만 강조"
국·영·수 3~4등급 비율 전국 하위권…"지역 전체 교육 중추 튼튼히 세워야"

(전주=뉴스1) 김동규 기자 = 전북지역의 고등학교 학력 수준이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위권 학생층의 붕괴가 심각하다.


전북지역공동 교육위원회 권혁선 정책자문(한국중등수석교사회 회장)은 1일 보도자료를 통해 "2022년부터 2025년까지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며 "단순한 등급 하락을 넘어 지역 교육의 지속가능성 자체를 위협하는 심각한 신호다. 교육계의 긴급하고 적극적인 대응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권혁선 자문이 시·도별 등급 분포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북은 국어·수학·영어 전 과목에서 1등급과 2등급 비율이 매년 감소하고 있다. 핵심 진학 기반인 3~4등급 중위권 비율도 전국 하위권으로 밀려났다.

2025년 수능에서 전북은 국어 영역 3·4등급 비율 13위, 수학 11위, 영어 14위로 분석돼 전국 평균을 크게 하회하고 있다. 특히 영어 성적은 2022년 17위에서 2024년 15위, 2025년 14위로 여전히 최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권 자문은 "학력 저하의 핵심은 중위권의 붕괴"라며 "이들은 학교 내신과 수능 모두에서 경쟁력을 잃어 대입 전략 수립이 어려워지고, 수시와 정시 어느 전형에서도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힘든 상황이다"고 진단했다.

그는 전북 교육이 장기적으로 중위권 학생을 위한 교육 전략 없이 상위권 성취만을 강조해 온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권 자문은 "성취평가에서 A 비율이 낮고 E 비율이 높은 현상은 전반적인 교육 설계가 다양한 학생층을 포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조적 약점이 수능 성적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지역 인재 전형' 중심의 대입 전략이 교육의 다양성을 억제하고, 평가 방식의 획일화로 이어져 오히려 전북 교육의 경쟁력을 저하하고 있다"며 "객관식 중심의 정기고사와 획일적 수업·평가 방식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떨어뜨리고 진로 탐색 기회를 제한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 "전북은 상위권 성과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지역 전체 교육의 중추를 튼튼히 세우는 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면서 "성취평가제 개선, 진로·진학 설계의 다각화, 평가 방식 혁신 등을 통해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교육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2025년 입시에서 충북은 중위권 성적의 급상승과 함께 서울대 합격자 100명을 돌파하며 눈에 띄는 성과를 거뒀다"며 "이는 중위권을 중심으로 한 학력 회복이 지역 전체 교육의 경쟁력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고 꼽았다.

kdg2066@news1.kr
최신글

전북지역공동 정관(안)

전북지역공동 정관(안) …

전북지역공동 01-09

전북지역공동 추진위원회 …

전북지역공동 조직 출범 …

전북지역공동 01-09

전북지역공동 추진위원장 …

안녕하십니까. 전북지역공…

전북지역공동 01-09

설문조사

기타

실시간 인기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