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역의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중위권 학력 수준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일 전북지역공동 교육위원회에 따르면 국어영역과 수학영역, 영어영역의 중위권인 3·4등급 학생층의 붕괴가 심각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국어 영역의 경우 지난 2022학년도는 9위, 2024학년도는 12위로 하락했다. 2025학년도에는 13위를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수학 영역 또한 2022학년도에는 10위였지만, 2024학년도에는 9위로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2025학년도에 이내 11위로 떨어졌다. 영어 영역의 경우 2022학년도에는 17위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이어 2024학년도 15위, 2025학년도에는 14위를 기록해 매년 소폭 상승하고 있지만 여전히 하위권을 맴돌고 있다.
전북지역공동 교육위원회는 3·4등급 학생들의 경우 학교 수시 학생부 종합전형과 교과 전형, 수능 정시까지 준비하는 공교육의 핵심 축이라 할 수 있다고 봤다.
또 3·4등급 학생들의 성적이 전북 학력을 결정하는 핵심이 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2025학년도 기준 3·4등급 학생들의 순위가 11위에서 14위권에 머무르면서 학력신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도내 교육계 사이에서는 과거 인문계 고등학교의 입학 진입 문턱이 낮아진 것도 근본적인 원인 중 하나라는 의견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집과 가까운 거리에 있는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교육 정책이 추진되면서 직업계고와 인문계고 간의 장벽이 기존보다 다소 허물어졌다는 주장이다.
도내 한 교육관계자는 “과거에는 직업계고에 진학해야 했던 성적임에도 집 근처 인문계고로 입학하게 됐다”면서 “대부분 대학 진학을 목표로 입문계고에 입학했던 기존 분위기와 달라지면서 학업에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이에 “학생들의 학력 신장을 위해 교육청에서는 수능 1등급 올리기 프로젝트, 학력 향상 도전학교 등 자율학습 잘하기 운동과 함께 입학사정관과 함께하는 대입 완전 정복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학생들의 학력 신장을 돕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히 이전에 사라졌던 자율학습 문화를 다시 회복시켜 학생들이 공부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면서 “학교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 교사와의 접촉도 잦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입시 지도와 대학 진학 지도 등 상담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공부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학생들을 지원해 주는 것을 우선적으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정은 기자
출처 : 전북도민일보(
http://www.do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