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일보]전북교육청, 고교 학점제 대응 ‘정책 대전환’ 시급
현장 전문성에 기반한 대입 연계 방안 마련해야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시행하고 있는 고교학점제를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내신을 위주로 한 대학교의 입시 전형이 오히려 고교학점제의 장점인 학생 진로선택권을 막고 있다는 것이다.
8일 전북지역공동 교육위원회 권혁선 정책자문(한국중등수석교사회 회장)은 ‘대학 입학 전형 분석을 통한 고교 학점제 발전 방안 탐구’ 보고서를 통해 고교학점제와 대학입시간의 괴리가 발행한다는 점을 주장했다.
권 정책자문은 “서울 주요 대학은 수시 종합 전형을 중심으로 학생의 교과 선택 이력,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 자기주도적 탐구 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반면, 전북대를 포함한 다수 지방 거점 국립대학(지거국)은 여전히 교과 내신 100%와 수능 최저 등급에 의존한 정량 평가 방식에 머물러 있다”고 밝혔다.
이어 “내신 중심 과목 쏠림 현상을 부추기는 이 같은 구조가 고교 학점제가 강조하는 ‘학생 개별 맞춤형 진로 선택권’을 사실상 무력화시키고 있다”면서 “수능과 내신 위주의 정량 평가에 갇힌 채, 학생의 성장 가능성과 진로 역량을 반영하지 못하는 전형 구조가 지역 교육 왜곡을 부추기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전북대는 전국 지거국 가운데에서도 학종 선발에 가장 소극적이며, 의대 선발조차 교과 전형과 정시 중심으로 운영해 왔다”며 “2025학년도 기준, 전북대 의대 모집 인원 중 수시 종합 전형으로는 단 5명(3.5%)만 선발하며, 나머지는 교과(79명)와 정시(58명)로 채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서울대와 고려대 등 수도권 대학은 학종을 중심으로 의대생을 선발하고 있으며, 이는 인성과 역량 중심의 선발이라는 고등교육의 방향성과도 일치한다는 게 권 정책자문의 설명이다.
전북지역공동 박준 교육위원장은 “전북 교육계가 여전히 고교학점제 찬반 논쟁에 매몰돼 있는 것은 생산적이지 않다”며 “과거 김승환 교육감 시기에도 이와 유사한 소모적 논의가 반복됐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돌아갔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 필요한 것은 찬반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대안 마련”이라며 “정책 개선을 미루는 것은 교육청의 무책임한 태도로 여건을 탓하기보다 체계적이고 능동적인 정책 개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