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회원로그인

📡 언론보도
 

[전북도민일보 사설] 전북 수능성적 중위권 비율 하락 대책 시급


최근 전북지역 학생들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분석 결과 학력 수준이 전반적으로 하락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위권 학생층의 성적 수준 하락이 심각한 상황으로 나타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교육의 중심축이라 할 중위권 학생들의 학력 저하는 수능은 물론 내신 등에서 경쟁력 약화로 대입을 위한 전략 수립이 어렵다는 게 교육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는 전북지역공동교육위원회가 지난 2022학년도 부터 2025학년도 까지 4개 년 대입 수능성적 분석결과로 매년 국어·영어·수학 등 3개과목에서 1~2등급 비율이 감소하고 3~4등급 중위권 비율도 전국에서 하위권으로 밀리고 있는 실정이다.

수학영역의 경우 2024학년도 9위로 2022학년도 10위에서 소폭이나마 상승했으나 2025학년도에 11위로 급락했다. 2022학년도 17위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던 영어영역에서는 2024학년 15위, 2025학년도 14위로 상승하고 있으나 역시 전국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국어 역시2022년 9위에서 12위, 13위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대입수험생들의 수능 3~4등급은 수시학생부·종합전형과 교과전형·수능정시까지 핵심 진학 기반이라는 점에서 수시나 정시 등 전형에서 성공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이같은 교육전문가들은 중위권 학생을 위한 장기적 교육전략 부재에서 기인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상위권에 쏠린 교육이 문제였다는 것이다.

사례로 충북지역은 중위권을 중심으로 한 학력신장 교육이 100여 명 학생이 서울대에 합격할 수 있는 성과를 냈음을 들고 있다. 전북지역 중위권 성적붕괴 현상에 대해 인문계 고교입학 문턱이 낮아진데 있다는 등 다양하게 분석되고 있다.

아무튼 수학능력시험 성적 하락은 전북교육 전반에 걸쳐 빨간불이 켜졌다는 경고다. 물론 전북교육당국이 수능 1등급 올리기, 과거 사라졌던 자율학습 등 학력신장을 위한 다양한 진학지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하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중위권학생들을 축으로 한 학교현장의 과감한 혁신이 필요한 싯점이다.

최우선은 학생들이 공부할 수 있는 쾌적한 환경조성이다.
최신글

전북지역공동 정관(안)

전북지역공동 정관(안) …

전북지역공동 01-09

전북지역공동 추진위원회 …

전북지역공동 조직 출범 …

전북지역공동 01-09

전북지역공동 추진위원장 …

안녕하십니까. 전북지역공…

전북지역공동 01-09

설문조사

기타

실시간 인기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