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공동 조직 출범 일정
전북지역공동 준비위원회는 구)전북교육공동연구원과 사단법인 장애인인권연대, 전북미디어언론협동조합, 발평자사모 등이 함께 준비위원회를 구성하였습니다.
전북지역공동 추진위원회는 김학산 추진위원장(전 남원교육지원청 교육장, 전 전북교육연수원장)을 중심으로 각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하며, 주요 위원회별 역할을 분담해 체계적인 운영을 도모할 예정입니다.
정치위원장 최강익(광해 대표, 전 국회의원 보좌관), 노동위원장 김홍민(현대자동차노동조합 전주공장 전 통합대표), 교육위원장 박준(전북중등AI정보교과연구회 회장), 문화위원장 이병재(지역플러스 교육연구소 대표, 전북장애인뉴스 공동취재본부장), 장애인위원장 최창현(사단법인 장애인인권연대 대표), 청년위원장 황지영(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전 전북사무국장), 경제위원장 정구영(가나광고 대표), 지역위원장 임동현(전북로컬포털 대표), 사무처장 임창현(전북교육신문 운영위원장) 등이며 실무를 담당하는 사무처에는 홍보국장 심천일(소쿠리 프로덕션 대표), 편집국장 겸 대변인 김정화(군산 연극협회 감사), 총무국장 한재숙(아동문학가), 협력국장 최주열(전북미디어언론협동조합 대외협력부장), 조직국장 이미라(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과 자립을 응원하는 사람들의 모임 대표) 등 입니다.
전북지역공동 준비위원회는 2월 14일까지 최고위원회를 구성하고 전북지역공동 추진위원회로 전환될 예정입니다.
2025년 겨울이 오기 전에 '전북지역공동'을 출범할 목표로 출범 추진과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북지역공동 조직도 분석 및 역할 정리
1. 조직 개요
전북지역공동 조직은 다양한 분야의 위원회와 사무처를 운영하며, 최고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전체 운영을 조율합니다. 각 위원회는 30명 이내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산하에 특별위원회를 둘 수 있습니다.
2. 각 위원회의 기능 및 역할
정치위원회
정치 관련 정책 개발 및 지역사회 정치 활동 지원
공공정책 관련 토론 및 연구 진행
노동위원회
노동자 권익 보호 및 노동환경 개선 정책 연구
비정규직·취약 노동자 지원 및 노동 교육·상담 제공
여성위원회
여성 권익 신장 및 성평등 정책 연구
여성 리더십 개발 및 네트워크 구축
교육위원회
교육 정책 연구 및 제안
지역 교육환경 개선 사업 기획
문화위원회
문화예술 지원 및 지역 문화 활성화
문화 정책 개발 및 지역 예술가 네트워크 구축
장애인위원회
장애인 인권 보호 및 복지 정책 연구
장애인 교육 및 일자리 지원 사업 추진
청년위원회
청년 정책 연구 및 청년 창업·취업 지원
청년 네트워크 형성 및 활동 지원
경제위원회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 연구 및 추진
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 정책 마련
지역위원회
지역사회 개발 및 주민 협력 사업 추진
시군 단위별 위원구성 및 지역 단위 발전 전략 기획
3. 사무처장과 각 국장의 역할 및 업무
사무처는 위원회 활동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조직으로, 아래와 같은 부서(국)들로 구성됩니다.
사무처장
전체 사무처 운영 및 조정
위원회와 협력하여 실행 계획 수립 및 관리
홍보국
조직 홍보 및 대외 커뮤니케이션 담당
미디어, SNS 관리 및 홍보 전략 기획
편집국
공식 문서, 자료 및 기관지 제작
위원회 활동 보고 및 정리
총무국
조직의 운영 및 행정 지원
예산 및 재정 관리
협력국
외부 단체 및 기관과의 협력 추진
지역 사회 연계 프로젝트 기획
조직국
조직 내부 관리 및 운영 지원
회원 모집 및 교육 담당
정책국
정책 연구 및 개발
각 위원회와 협력하여 정책 제안 및 실행
4. 전북지역공동 조직의 특징
위원회 중심의 활동: 각 위원회는 특정 분야에 집중하여 연구 및 정책 제안 활동을 수행합니다.
사무처의 지원 기능: 실무 조직인 사무처가 행정, 홍보, 협력 등의 지원을 담당하며 원활한 운영지원합니다.
유연한 구조: 각 위원회는 산하에 특별위원회 구성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이슈에 대응합니다.
전북지역공동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각 분야별 전문성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