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 2025년 09월 03일 [수] 배포 |
---|
 | 2025년 09월 03일 (수) 시점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
연락처 | 추진위 사무처 (063-224-9205) |
웹주소 | http://jlp.kr |
| 대표 김학산 | 담당 : 최주열, 김정화 |
전주시 도심 노상주차장, 단기 이용자 불편 해소 시급
시민단체 전북지역공동(김학산)은 전주시 완산구 도심의 노상유료주차장에 대해 현장 상인들과 함께 문제점을 조사한 결과, 주차 요금과 공간 활용 방식이 현실과 맞지 않아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현재 고사동과 서노송동 일대에 조성된 노상주차장은 총 106면 규모로, 오전 7~8시부터 오후 7~8시까지 연중무휴로 운영된다. 30분에 900원, 추가 15분마다 450원, 1일 최대 9,000원의 요금이 책정되어 있으며, 이는 공영주차장과 유사한 수준이다.
도심 상권 활성화와 시민 편의 증진을 위해 도입된 노상주차장이지만, 실제로는 단기 방문을 원하는 시민과 사업자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한 상인은 "거래처 방문도 잠시 하려고 해도 장기 주차 차량으로 인해 주차 공간을 찾지 못해 결국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며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들이 장시간 움직이지 않는다"고 호소했다.
핵심 문제는 요금 체계와 관리 방식에 있다. 단기 이용자를 위해 도입된 노상주차장임에도 불구하고, 공영주차장과 유사한 운영 방식으로 인해 장기 주차가 오히려 편리해져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이 드러나고 있다. 이로 인해 도심 주차 공간의 회전율이 크게 떨어지고 상권 접근성이 저하되고 있다.
전북지역공동 조훈 청년위원장은 "노상유료주차장은 2시간 이내 단기 이용자에게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장기 주차 시 요금을 인상하는 등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공영주차장과 요금 체계를 분리하고, 주기적인 공간 이용 모니터링을 통해 장기 주차 집중 지역과 시간대를 파악해 관리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북지역공동은 "시민의 접근권과 구도심 상권 활성화를 위해 노상주차 정책을 현장 중심으로 개선해야 한다"며 "전주시와 관련 기관의 실효성 있는 개선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
전주 노상주차장 운영 문제점 개선 요구
전주시 완산구 고사동과 서노송동 등 도심 노상주차장(총 106면)이 교통체증이 적은 구간에 설치되어 도심 상권 활성화와 시민 편의 증진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주차장 공간을 찾기 어려워 단기 방문조차 번번이 무산되고, 도심 전체가 장기 주차장으로 변질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문제점
요금체계 불합리: 노상주차장의 요금(기본 30분 900원, 이후 15분당 450원)과 최대 요금(9,000원)이 공영주차장과 동일하게 설계되어 단기 주차 유도 효과가 약하다.
장기 주차로 인한 공간 부족: 단기 방문을 위한 장소임에도 요금 체계상 장기 주차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공간 회전율이 낮아진다다.
공간 이용률 저하: 거래처, 사무실 등 도심 업무를 단시간 처리하려는 주민·사업자가 주차 공간을 찾지 못해 방문을 포기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전북지역공동과 현장 상인들은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단기 주차 우대 정책 도입: 노상주차장은 1시간 무료 최대, 2시간 미만 단기주차에 한해 할인을 적용하거나, 2시간 초과시 요금 배증 등 공간 회전율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개선이 필요하다.
요금제 차별화: 공영주차장·사설주차장과의 요금체계 분리 및 노상주차장의 단기 이용 목적에 맞는 요금책정이 요구된다.
실태 모니터링 및 개선: 실제 주차장 이용실태를 조사하여 장기 주차가 집중되는 시간대와 지역을 파악, 주차 관리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
시민 접근성 보장: 진정한 목적에 부합하는 주차장 운영을 통해 구도심 상권 회복 및 시민 접근권 보장에 힘써야 한다.
노상유료주차장은 도심 상권 활성화와 시민 편의 증진을 위해 존재해야 하며, 단기·순환 이용자 중심의 운영방식으로 정책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주시와 관계기관은 시민과 상인들의 현실적 의견을 반영한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개선에 나서주시길 강력히 촉구한다.
2025년 9월 3일
전북지역공동 청년위원회